킹크랩의 종류 – 브라운 킹크랩의 특징과 이름의 유래, 하나사키 킹크랩, 골든 킹크랩 – 미국 FDA와 미국 의회의 이름 공방전
본문 바로가기

Biotechnology/음식, 식재료 F&B 산업과 생명공학

킹크랩의 종류 – 브라운 킹크랩의 특징과 이름의 유래, 하나사키 킹크랩, 골든 킹크랩 – 미국 FDA와 미국 의회의 이름 공방전

300x250
300x250

브라운 킹크랩의 학명과 이름의 유래

미국에서는 브라운 킹크랩의 이름을 골드 킹크랩으로 바꾸도록 법제화가 되었다. 한국에서는 흔히 브라운 킹크랩이라고 불리는 킹크랩은 레드 킹크랩과 블루 킹크랩과 함께 대표적인 식용 킹크랩들이다.

브라운 킹크랩은 노란 빛 갈색을 띠는 킹크랩 종으로 이러한 노란 면을 부각시키고 시장 가치를 더 높이기 위해 골든 킹크랩이라고도 불린다.

브라운 킹크랩은 눈에 띄게 블루 킹크랩들과 레드 킹크랩들과 노란 갈색 황금빛의 색덕분에 구분을 하기 쉬운 편이다.

브라운 킹크랩은 국어로 황왕게 또는 황색 왕게라고도 불리며 일본어로는 이브라가니모도키 イバラガニモドキ라고 불린다. 브라운 킹크랩(골드 킹크랩)의 과학적 학명은 Lithodes aequispinus 이다.

 

골드 킹크랩 또는 브라운 킹크랩 - 미국 FDA vs. 미국 Congress

미국에서도 골드 킹크랩은 브라운 킹크랩이라고 불렸지만 현재는 라벨 상 기재 표시사항이나 광고에서 브라운 킹크랩의 명칭 사용은 불법이며 미국은 반드시 골든 킹크랩 또는 골드 킹크랩(Golden King Crab)이라고 황왕게를 불러야 한다.

미국 의회에서는 brown, 브라운 즉 갈색이라는 이름이 소비자들로 하여금 브라운 킹크랩의 구매를 꺼리게끔 만드는 요소라고 믿었다.

 

 

그래서 미국 의회에서는 브라운 킹크랩의 이름을 골든 킹크랩으로 바꾸도록 FDA에 협조 요청을 하였다. 하지만 FDA는 표시 기재 사항의 통일성이나 여러 혼란 유발 등을 우려하여 미국 의회의 요청을 처음엔 거부하였다.

하지만 미국 의회에서는 2017년도 종합세출예산법(Consolidated Appropriations Act)을 발의하여 통과 시켰고 이는 미국 연방 규정집의 21. 식품과 약품 일반규칙의 102 102.50 부의 774항 브라운 킹크랩 이라는 이름을 골든 킹크랩의 이름으로 개정하도록 하였다.

 

 

미국의 종합세출예산법은 상위 법이라서 연방 규정집의 준수를 고집하던 미국 FDA도 하는 수 없이 브라운 킹크랩의 이름을 금지하고 모든 라벨과 표시 기재사항과 광고에서 골드 킹크랩이 명시되도록 조치하였다.

이상할 수도 있지만 미국 의회에서는 블루 킹크랩과 레드 킹크랩들과 달리 안정적인 개체수를 가져 지속적으로 시장에 공급 될 수 있는 골드 킹크랩(브라운 킹크랩)에 대한 인식을 고쳐서 소비자들의 소비를 촉진 하고자 하였다.

 *한국 실정에 맞게 골든 킹크랩이 아닌 브라운 킹크랩으로 명시 예정

 

 

브라운 킹크랩의 크기와 서식지

다른 킹크랩 종류들과 비슷하게 상업적으로 어획 되는 브라운 킹크랩들은 약 1.8kg ~ 3.6kg 4 pounds에서 8 파운드의 무게가 잡히며 시장에 유통된다. 

브라운 킹크랩 또한 다른 두 종류의 킹크랩들과 같이 알레스카, 러시아와 일본의 바다인 베링해 캄차카 반도 일대와 오호츠크 해에서 어획 된다.

 

 

블루 킹크랩들과 레드 킹크랩들은 뻘과 모래 지대를 선호하는 것과 달리 브라운 킹크랩들은 암초 지대에 서식하는 것을 선호한다.

또한 브라운 킹크랩들은 300미터에서 1000미터(1킬로미터) 990 피트에서 3200 피트의 깊은 수심에서 서식을 하여 레드 킹크랩이나 블루 킹크랩들보다 깊은 수심에 서식한다.

 

 

브라운 킹크랩의 어획

브라운 킹크랩들은 블루 킹크랩과 레드 킹크랩과 대조하여 안전적인 개체 수를 유지하고 있다. 하지만 브라운 킹크랩들은 게살 수율이 낮고 다리가 작아서 블루와 킹크랩들보다 가격이 낮게 형성된다.

여전히 그래도 브라운 킹크랩들은 매우 값비싼 해산물이다. 브라운 킹크랩들은 4년만 되어도 번식이 가능한 성체로 성숙하고 블루 킹크랩이나 레드 킹크랩보다 몇배씩이나 더 많은 알을 낳기에 대체로 공급이 안정적이다.

 

 

그래도 브라운 킹크랩들은 고부가가치의 해산물이기에 정부의 철저한 통제와 어획 쿼터제가 운영된다. 브라운 킹크랩의 어획기는 개체수가 안정적인 덕분에 탈피를 하는 시기인 주로 6-8월에만 금지가 되고 그 이외 기간은 허가가 되곤 한다.

 

 

가시투성왕게 - 하나사키 킹크랩

블루, 브라운, 레드를 제외하고 일본과 한국에서 소비 되는 킹크랩 종류로는 하나사키 킹크랩 즉 가시투성 왕게가 있다. 하나는 꽃을 뜻하며 사키는 핀다를 의미하는 일본어로 국면 가시투성왕게는 엄청 많은 가시에서 본따 이름이 붙여졌다.

하나사키 킹크랩은 영어로 Spiny king crab라 불린다. 하나사키 킹크랩들 또한 맛이 매우 뛰어나지만 이들은 주로 일본에서 소비가 많이 되기 때문에 한국에는 B급 개체들이 많이 유통되어 수입 되는 편이다. 일본어로 하나사키 가니ハナサキガニ이다. 가니라는 뜻 자체가 일본어로 게를 의미한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