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량진 수산시장 이용 가이드] – 바가지 안 쓰는 법 파트 1 - 한국의 수산물 유통 기본 시스템, 해산물에만 쓰이는 무게, 숫자 단위, 생선 수율과 1인당 필요한 회의 양 계산 방법
본문 바로가기

Personal - 개인/한국 국내 장소 가이드 - 코리아 패스파인더

[노량진 수산시장 이용 가이드] – 바가지 안 쓰는 법 파트 1 - 한국의 수산물 유통 기본 시스템, 해산물에만 쓰이는 무게, 숫자 단위, 생선 수율과 1인당 필요한 회의 양 계산 방법

300x250
300x250

 

 

수산물 유통과 도소매 관련 법률을 대략 이해해야 하는 이유

한국은 과일과 채소를 포함한 농산물이나 해산물의 유통에 대해 매우 특이한 법들을 갖췄다. 모든 해산물들은 유통과 판매를 위해서는 반드시 수협에 상장 등록 되어야 한다.

수협에 상장된 이후 합법적인 위판 경매나 계약을 통해서 해산물은 유통 판매 되어야 한다. 이는 농산물도 마찬가지로 즉 익히 어려서부터 농가와 어업을 위해 직거래를 장려하자는 말은 불법이라는 의미다.

 

 

농부가 직접 기른 채소나 어부가 직접 잡은 물고기를 지나가던 사람한테 판매하면 수협이나 농협에 상장되지 않은 것으로 위법이다. (따로 다룰 예정)

따라서 산지의 위판 경매장이나 대규모 도매시장의 경매 낙찰 단가에 유통 비용이나 추가 이익과 마진을 남기면 일반 소비자들의 소비자가가 결정된다.

더 거시적으로는 전체 물가에도 영향이 간다. 따라서 대략적인 해산물의 유통이 대한 법률을 알면 해산물의 가격이 정해지는 원리 등에 대해 바로 이해 할 수 있고 이를 활용하여 수산 시장에 물건 구입 할 때 참고도 할 수 있다.

 

 

노량진 수산시장의 도매 경매 단가가 물가와 해산물 가격에 미치는 영향

노량진 수산시장의 모든 물량이 산지의 출하지의 위판장과 같이 1차적으로 상장된 해산물들이 모이는 곳은 아니고 이미 한번 경매되었던 물건들이 올라오곤 한다.

하지만 노량진 수산시장은 한국 국내 최대 규모의 수산물 도매 시장인 만큼 노량진 수산시장의 경매 가격은 일종의 표준가격이 된다.

 

 

가락 농산물 도매 시장의 도매 가격이 농산물들의 표준 가격의 기준이 되듯 노량진 수산시장의 경매 가격이 수산물의 가격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그래서 노량진 수산시장에서 결정되는 경매가들은 장기적으로 그리고 거시적으로는 우리나라 수산물의 가격과 물가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수산물 유통의 관리 및 지원에 관한 법률 - 소비자가에 영향을 주는 법들

11(위판장 개설구역위판장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지역에 개설할 수 있다.

1. 「어촌ㆍ어항법」에 따라 지정된 어항

2. 「항만법」에 따른 항만

3. 그 밖에 어획물 양륙시설 또는 가공시설을 갖춘 지역으로서 해양수산부장관이 지정하여 고시한 지역

 

 

18(위판장 수산물 수탁판매 등

① 위판장 개설자는 도매하는 수산물을 출하자로부터 위탁 받아야 한다. 다만, 수산물의 가격안정 등 해양수산부령으로 정하는 특별한 사유가 있는 경우에는 매수하여 도매할 수 있다.

② 위판장 개설자는 해양수산부령으로 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입하된 수산물의 수탁과 위탁받은 수산물의 판매를 거부ㆍ기피하거나 거래 관계인에게 부당한 차별대우를 하여서는 아니 된다.

③ 산지중도매인은 위판장개설자가 상장한 수산물 외에는 거래할 수 없다. 다만, 위판장 개설자가 상장하기에 적합하지 아니한 수입산이나 원양산 수산물 등 해양수산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시장ㆍ군수ㆍ구청장으로부터 허가를 받은 수산물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④ 산지중도매인 간에는 거래할 수 없다. 다만, 과잉생산 수산물의 처리 등 해양수산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시장ㆍ군수ㆍ구청장으로부터 허가를 받은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노량진 수산시장의 경매 단가

https://www.susansijang.co.kr/nsis/miw/ko/info/miw3110

 

노량진수산주식회사 : 수산물가격정보 - 오늘의경락시세

오늘의 경락시세 오늘의 경락시세 노량진수산시장의 오늘의 경락시세를 보실 수 있습니다.

www.susansijang.co.kr

 

해산물을 세는 정량적 단위

해산물을 세는 정량적 단위 중 알아두면 좋은 것이 미의 개념이다. 미 단위는 “kg당 몇 마리의 해산물"을 뜻한다. 보통은 1kg이 기준이지만 이 또한 달라질 수 있다. 미의 숫자가 낮을수록 해산물의 크기가 크다.

예를 들어 3미 전복은 1kg 3마리의 무게를 가진 전복이란 뜻으로 전복 한 마리가 무려 333g 정도 된다는 의미다. 10미 전복의 경우 1kg 10마리의 전복이 있으며, 전복 한 마리가 평균 100g 한다는 소리다.

 

 

즉 미 수가 작을수록 더 큰 해산물이 들어있다는 소리다. 20미 전복의 경우 1마리가 평균 50g 20마리가 1kg이 된다는 의미이다.

작은 미의 해산물일수록 kg당 단가가 높아질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작은 미의 해산물이 크기 때문에 더 맛도 좋다.

 

 

 

해산물을 세는 정량적 단위

보통 육고기나 육류에 사용되는 무게 단위인 근은 고기에 한정해서 보통 600그램이다. 하지만 해산물의 경우 근의 무게 단위가 다르고 해산물 1근은 400 그램이다.

많은 사람들이 수산시장에서 1근을 달라고 했는데 400g밖에 받지 못하였다고 항의하곤 하지만 수산물과 해산물의 경우 1근은 600그램이 아니라 400그램의 무게니 참고 해야 한다.

 

 

해산물을 세는 정량적 단위,

고등어 한 손은 두 마리의 고등어를 의미하며 손이라는 단위는 보통 두 마리를 뜻하며 고등어에 사용된다.

1뭇은 주로 해조류나 해초 등에 사용 되는 단위로 1뭇은 보통 10장의 해조류나 해초를 뜻하며 이렇게 10장의 1뭇은 보통 1kg의 무게를 가진다. 손과 뭇은 일반 소비자들은 비교적 잘 안 사용 되는 단위로 참고만 하면 된다.

 

 

1인당 필요한 회나 해산물의 무게 계산

일반적인 여성의 기준으로 1인당 회 200g 그리고 남성 기준으로 1인당 250g은 잡아야 한다. 이 정도 양은 먹어야 다른 해산물들도 즐길 수 있는 여유가 있다.

어떤 해산물을 얼마나 먹는지 개인의 식성 등에 따라 여기서 무게를 추가하면 된다. 이렇게 계산한 이후에 생선의 수율에 따라서 어종을 계산하여 회를 구입하면 예산을 낭비하지 않고 해산물을 즐길 수 있다.

 

 

생선 필렛 무게 생선 수율 계산법

넉넉하게 잡아서 수산시장에서 필요한 해산물의 양을 계산할 때 생선 수율은 30% 를 잡으면 된다.

생선의 경우 개체에 따라 다르지만 머리의 무게나 뼈 그리고 내장의 무게나 먹을 수 없는 비늘 등의 무게를 제외하면 살의 수율은 생각 보다 적다.

 

 

또한 생선을 손질하는 사람의 실력 차이가 어마어마해서 생선 수율이 인터넷 상에서 알려진 것보다도 훨씬 적다.

생선 종에 따라서도 다른데 대표적인 수율이 높은 생선인 광어(넙치)는 개체나 손질하는 사람의 실력에 따라 수율이 30~50% 정도 된다. 우럭의 경우 대표적인 수율이 낮은 생선으로 25~20% 정도 된다.

 

“[인어교주해적단] 광어, 우럭, 숭어 등 활어에서 나오는 ’순살 비율’을 알려드립니다.” 인어교주해적단, tpirates.com/%EC%BD%98%ED%85%90%EC%B8%A0/1847/%EC%82%B4%EC%88%98%EC%9C%A8-%EC%8B%9C%EB%A6%AC%EC%A6%88-1%ED%83%84-%ED%99%9C%EC%96%B4. Accessed 29 May 2025.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