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nternational & History

[USA] - 미국 16대 대통령 에이브러햄 링컨과 미국 남북전쟁과 노예제도 - Part 1

반응형
Abraham Lincoln 에이브러햄 링컨

출생: 1809212
사망: 1865415
정당: 공화당(Republican)
재임기간: 1861년부터 1865
부통령: 한니발 햄린(Hannibal Hamlin) >> 남부 연합에 가입해버림, 앤드류 존슨(Andrew Johnson)
별명: Honest Abe 정직한 에이브 

미국 노예제도의 폐지에 앞선 대통령

에이브러햄 링컨의 업적의 의의

 

에이브러햄 링컨은 미국이 하마터면 분단 될 뻔했던 남북 전쟁에서 승리를 하여 미국 전체를 보전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었다. 미국은 지속적으로 기이한 속도로 확장을 하고 있었다.

이 과정에서 다른 국가에서 온 이주민들과 그들의 문화를 모두 하나로 통합 할 수 있는 미국만의 국가 정체성이 필요하였다.

 

 

에이브러햄 링컨은 미국 전체를 하나로 보전하였을 뿐만 아니라 미국의 국가 정체성의 바탕이 되어줄 도덕적 가치 또한 정립하였다.

비록 에이브러햄 링컨의 노예 해방선언은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을 시민으로 인정하지 못하거나 지역 제한적이었던 등 한계가 있었고, 실질적으로 이들이 참정권을 받기에 상당한 시간이 걸리지만, 에이브러햄 링컨은 미국의 모든 국민들이 공감할 수 있는 도덕적 국가정체성을 마련한 대통령이 되었다.

 

 

홈스테드 법(자영 농지법) Homestead Act

 

미국 연방정부는 영토를 확장하면서, 미국 연방재정을 마련하기 위해 토지를 판매하곤 하였다.

하지만 갓 이주 해온 이주민들은 재산이 없는 와중에 일구어야 될 토지는 너무 많은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자영 농지법(홈스테드 법)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였다.

미국의 국토가 서부로 확장이 되면서 무인지대에 정착을 하거나 기반 시설들을 건설하기 위한 인력이나 자원이 너무나 많이 소모되었다.

 

 

에이브러햄 링컨은 일정 기간 동안 정착을 하고 토지를 일구고 개발하는 조건으로 무상으로 토지를 제공하는 홈스테드 법(자영 농지 법)을 승인한다.

홈스테드 법은 160 에이커(acre) , 0.65 km²의 토지를 최소 5년간 일구는 조건으로 이주민들에게 무상으로 제공을 하였다.

이 홈스테드 법을 통해서 추후 40년간 무려 8천만 에이커(acre) 땅 약 324,000 km²이 무상으로 나누어지고 개발되었다.

 

섬터 요새(포트 섬터) 포격 (The attack on Fort Sumter) 남북 전쟁 시작의 신호탄

 

피에르 구스타브 투탕 뷰레가드(PGT 뷰레가드로도 알려진다. / Pierre Gustave Toutant-Beauregard)1861412, 북무 미국 연방군이 주둔하고 있던 섬터 요새(포트 섬터)를 포격한다.

사우스 캐롤라이나의 찰스턴에 위치하고 있던 섬터 요새에는 로버트 앤더슨 소령을 포함한 미국 연방군(북군)이 주둔하고 있었다.

이미 사우스 캐롤라이나는 미국 연방으로부터 탈퇴를 하였고, 찰스턴 항구에 위치하고 있는 섬터 요새는 남부의 아메리카 연합국과 북부의 미국 연방 사이의 긴장감을 높이고 있었다.

섬터 요새는 찰스턴 항구의 이용에 대한 직접적인 군사 위험요소이기에 사우스 캐롤라이나 주 입장에서는 매우 눈엣가시와 같은 존재였다.

 

피에르 구스타브 투탕 뷰레가드와 섬터 요새의 지도

 

미국 연방정부는 섬터 요새에 식량만을 보급하겠다는 통보를 사우스 캐롤라이나 주에 전달한다.

이에 대해서 긴밀한 대화가 이어졌지만, 결국 아메리카 연합국 대통령 제퍼슨 데이비스은 섬터 요새에 식량만이 아닌 미국 연방군의 군세가 증강될 것을 우려하여 PGT 뷰레가드 장군에게 섬터 요새를 점령할 것을 명령하기에 이른다.

1861412, 남부군들은 34시간 동안이나 섬터 요새에 포격을 실시한다. 로버트 앤더슨 소령은 남부군의 포격이 멈출 때까지 대기하였다가 항복하였다.

로버트 앤더슨은 섬터 요새의 미국 연방군 깃발을 내리고 자신의 주둔군과 함께 미국 북부로 이끌게 된다. 놀랍게도 34시간 동안의 포격동안 상호간의 전투로 인한 사상자는 한 명도 발생하지 않았다.

 

섬터 요새의 성조기 / 현재의 섬터 요새

 

하지만 에이브러햄 링컨은 섬터 요새 포격에 대한 응징으로 민병대의 모집을 명령한다. (75,000여명을 최초에 모집하고자 하였으나, 정말 짧은 시간 동안에 이를 능가하는 수의 지원자들이 모병 지원하였다.)

에이브러햄 링컨은 또한 해군에 명령을 내려 미국 남부에 대한 해안 봉쇄령을 지시하였다.

 

추가로 미국 연방에서 탈퇴한 4개의 주를 보여준 지도

 

에이브러햄 링컨과 북부 주들이 형제 주들에 대한 무력 탄압을 조장한다는 빌미로 아칸소, 노스 캐롤라이나, 버지니아와 테네시 4개의 주가 추가적으로 미국 연방에서 탈퇴를 한다.

버지니아가 미국 연방 탈퇴를 논의하던 시기 즘 에이브러햄 링컨은 윈필드 스콧의 조언을 듣고 로버트 E. 리에게 미국 연방군의 총사령관직을 제안하였다.

하지만 로버터 E. 리는 자신의 고  향 버지니아를 배신할 수 없다고 거절을 하고, 아메리카 연합국의 일원이 된다.  

 

좌측 : 로버트 E. 리   우측 :윈필드 스콧

 

제퍼슨 데이비스(Jefferson Davis)과 아메리카 연합국(Confederate States of America)

 

제퍼슨 데이비스는 아메리카 연합국의 최초이자 유일한 대통령이었다.

제퍼슨 데이비스는 미시시피 주 대표로 상원과 하원에서 모두 의원직을 수행하였고, 전쟁성 장관으로서도 활약을 하였으며, 미국의 육군사관학교인 웨스트 포인트 졸업생으로서 미국-멕시코 전쟁 참여를 하여 정치적-군사적 경험이 풍부한 인재였다.

아메리카 연합국은 버지니아주가 아메리카 연합국에 가입을 한 이후 버지니아 주의 리치몬드(Richmond)를 수도로 삼았다.

리치몬드는 워싱턴 DC와 지리적으로 가까웠으며, 미국의 자유주와 노예주를 구분하는 경계선이 되는 메이슨 딕슨 선에서도 크게 멀지 않은 장소였다.

 

메이슨 딕슨 선 / 제퍼슨 데이비스

 

이로 인해 미국 남북전쟁의 초기에는 리치몬드를 점령하려는 북부군과 이를 저지하는 남부군의 동부 전선에서 치열한 전투들이 발생하였다.

제퍼슨 데이비스는 아메리카 연합국의 대통령으로 당선된 이후 최초로 연방에서 분리한 7개의 주에서 한 명씩 자신의 내각진의 일원으로 임명하였다.

제퍼슨 데이비스는 국무부 장관으로 조지아의 로버트 툼스(Robert Toombs), 재무부 장관으로는 사우스 캐롤라이나의 크리스토퍼 메밍어(Christopher Memminger), 전쟁성 장관으로 앨라배마의 르로이 워커(LeRoy Walker), 텍사스의 존 리건 (John Reagan)을 우체국장으로, 루이지애나의 유다 P. 벤자민을 법무부 장관으로 그리고 스티븐 말러리(Stephen Mallory)를 해군성 장관으로 임명하였다.

 

제퍼슨 데이브스와 그의 내각

 

섬터 요새 포격 이후로 아칸소, 노스캐롤라이나, 테네시와 버지니아 또한 미국 연방 정부에서 탈퇴하고 아메리카 연합국에 가입하였다.

아메리카 연합국의 정부는 안정되지 않아서 제퍼슨 데이비스의 내각진은 빈번하게 교체가 되었다.

또한 아메리카 연합국의 정부는 주 정부의 권한을 우선에 두다 보니(주 정부의 권한에 비중을 더 두는 것 또한 미국 연방으로부터 탈퇴를 한 이유기도 하였다) 중앙 집권화가 되지 못하고, 남북 전쟁 동안의 빠른 결정을 내리지 못하는 계기가 되기도 하였다.

제퍼슨 데이비스의 중앙 정부는 남북 전쟁 내내 주 정부들로 인하여 빠른 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힘든 사투를 벌이게 된다.

 

 

이 뿐만 아니라 제퍼슨 데이비스는 북부 미국 연방 해군의 해역 봉쇄로 인하여 굶주림과 경제적 어려움에도 허덕이는 상황에 처해졌다.

에이브러햄 링컨이 노예해방선언(Emancipation Proclamation)을 하면서 제퍼슨 데이비스는 이에 맞서 북부 연방군에 참전한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의 즉결 처형을 승인하는 등 정치적으로도 북부의 미국 연방 정부에게 휘둘리게 된다.

프랑스와 대영제국은 미국을 분열시켜 미국의 힘을 줄일 수 있는 기회 때문에 아메리카 연합국의 지원을 위해서 전쟁에 참여를 하는 것까지 고려하고 있었다.

 

 

남부의 아메리카 연합국의 경제는 프랑스와 대영제국 목화 수출과 공산품 수입에도 크게 의존을 하고 있었다.

하지만 대영제국은 목화 수요를 이집트 등 식민지에서 해결할 수 있었고, 에이브러햄 링컨이 노예 해방선언과 게티즈버그 연설을 통해서 노예 해방의 정당성과 미국 남북전쟁의 도덕적 타당성을 정당화하면서 대영제국과 프랑스는 아메리카 연합국의 지원 계획을 철회한다.

대영제국과 프랑스 미국 남부의 귀족적 문화에 우호적이었고, 미국을 분단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아메리카 연합국의 지원을 고려하였다.

하지만 프랑스와 대영제국 모두 미국 연방정부로부터 식량을 수입하고 있는 입장이었을 뿐더러 노예해방선언과 게티즈버그 연설 등의 정치적 도덕적 정당성을 인정하였기에 결국 아메리카 연합국을 지원 하지 않았다.

 

 

아나콘다 계획 (Anaconda Plan)

 

에이브러햄 링컨은 미국군의 참모총장으로 숙련된 군인이자 정치가인 윈필드 스콧을 임명하였다. 윈필드 스콧은 남북 전쟁 초기의 미국군들의 총 지휘를 맡는다.

윈필드 스콧은 1812 전쟁, 블랙 호크 전쟁과 미국-멕시코 전쟁 등에 모두 참전을 한 베테랑 군인이었다.

윈필드 스콧은 또한 대통령 후보로도 대선에 참가를 하였을 만큼 숙련된 정치인이기도 하였다. 윈필드 스콧은 전쟁과 정치의 불가결한 관계를 이해하는 군인이었고, 미국 남북전쟁을 승리로 이끌 대전략인 아나콘다 계획(Anaconda Plan)을 제안한다.

아나콘다 계획은 사상자를 최소화하고, 미국 남부를 굴복시킬 봉쇄 계획으로 위대한 뱀 작전으로도 불렸다.

 

아나콘다 계획을 제안하는 윈필드 스콧

 

윈필드 스콧이 제안을 한 아나콘다 플랜은 다음 사항들을 실행하고자 하였다.

1.     미시시피강을 기준으로 아메리카 연합국을 분열시키고, 미시시피 강을 통제하여 식량과 수운을 통제한다.

2.     미국 해안에 해군 봉쇄선을 형성하여 아메리카 연합국의 모든 수출과 수입을 통제하고, 대영제국과 프랑스의 참전을 견제하고 감시를 하여 경제적으로 미국 남부를 씨 말린다.

 

아나콘다 계획에 대한 지도

 

윈필드 스콧은 아나콘다 계획을 실행하는데 매우 많은 시간이 소모될 것이라는 점은 알았지만사상자를 최대한 줄일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미국 남부의 목화 수출은 남부 경제에 매우 중요하였다.

하지만 미국 남부는 제조업을 위한 기반 시설이 없어서 공산품의 수요를 수입에 크게 의존하고 있었다. 미국 연방정부 또한 대영제국이나 프랑스과 아메리카 연합국의 은밀한 외교에 대해서도 파악을 하고 있었다.

 

 

미국 대중들은 코앞의 남부 반란군의 수도 리치몬드를 왜 차지 못 할까? 의문을 가지고 아나콘다 계획을 지지 하지 않았다.

하지만 남북전쟁의 초기 전투에서 보여준 남부군의 거센 저항은 대중들이 틀렸다는 사실을 증명하였다.

윈필드 스콧의 아나콘다 계획은 미국 연방정부에게 미국 남북전쟁의 대전략으로서 완벽하였다.

 

북부군 해군의 봉쇄선

 

첫번째 불런 전투(The first Battle of Bull Run)와 반도 전역 (Peninsula Campaign)

 

북부군이나 남부군이나 지원자들이 넘쳐났다. 미국 남북전쟁 초기에는 북부군에서도 백인 남성들만 군대에 자원을 할 수 있었다. 미국 북부군들은 우리가 갑니다 에이브러햄 아버지를 외치면서 입대를 하곤 하였다.

물론 미국 남북전쟁의 상황이 악화되고 전쟁이 길어지면서 에이브러햄 링컨의 노예 해방 선언 이후부터는 흑인 남성들 또한 북부군에 입대를 할 수 있게 되었다.

전쟁 초기만 해도 메이슨-딕슨 선 이북이나 이남의 자원자들은 미국 남북전쟁이 얼마나 잔인 할지 상상도 못한 채 전쟁으로 향한다.

 

 

미국 남북전쟁의 첫 주요 전투는 첫번째 불런 전투이다. (Battle of Bull Run) 버지니아의 북동부에 위치한 불 런이라 불리는 계곡에서 미국 남북 전쟁이 본격적으로 시작 된다.

북부 미국 연방군의 어빈 맥도웰(Irvin McDowell)은 노스이스턴 버지니아 군(Army of Northeastern Virginia, 이 전투 이후 해산된다.

남부의 노스 버지니아 군과 헷갈리지 않아야 한다.)를 이끌고 남부군의 P.G.T 뷰레가드가 이끄는 포토맥군(이 또한 추후 창설되는 북부의 동부전선 주력군 포토맥군과 헷갈려선 안된다.)과 나부의 조셉 E. 존스턴 (Joseph E. Johnston’s)의 섀넌도어 군(Army of the Shenandoah).과 맞선다.

 

 

이 시점이 되어서도 사람들은 남북전쟁이 얼마나 살벌한 전장터가 될지 상상도 못하고, 심지어는 사람들이 도시락을 싸들고 이 전투를 구경하고자 몰려들기도 하였다.

북부군이나 남부군 모두 전투 경험이 없는 상태에서 전투가 실시되는데, 미국 남부의 토마스 잭슨(스톤월 잭슨으로 불린다)는 섀넌도어 군의 제1 여단을 이끌고 북부 미국 연방군의 포대와 전선을 무너뜨리는 결정적인 돌격을 실시하여 승리를 이끈다.

 

 

첫번째 불런 전투에서의 패배 이후 에이브러햄 링컨은 새롭게 군을 편성한다.

미국의 연방군은 포토맥 군(Army of the Potomac)을 주력으로 동부 병력을 재편성하였고, 조지 맥컬랜(George B. McClellan)을 포토맥 군의 사령관으로 임명한다.

제퍼슨 데이비스 또한 여러 번의 재편성과 사령관 교체 끝에 로버트 E. (Robert E. Lee)를 북 버지니아 군(Army of Northern Virginia)의 사령관으로 임명하고 이들은 아메리카 연합국의 동부전선의 주력부대가 되었다.

 

좌측 : 조지 맥컬랜   우측 :로버트 E.리

 

 1862년 봄, 조지 B 맥컬랜의 포토맥군은 알렉산드리아에서 출항하여 버지니아의 먼로 요새(Fort Monroe)에 상륙하여 반도 전역(Peninsular Campaign)의 전투가 시작 된다. 조지 맥컬랜의 전략적 목표는 아메리카 연합국의 수도 리치몬드를 탈환하여 전쟁을 최대한 빨리 끝내는 것이었다. 아나콘다 계획 또한 실시가 되고 있었지만 대중들은 워낙 빠르게 전쟁이 끝내기를 바라며 압력을 넣고 있었다. 그렇게 얼마 멀지 않아 보이는 남부의 수도 리치몬드를 향한 반도 전역 전투가 시작된다. 북군의 포토맥군은 치카모니 강(Chickahominy River)을 따라 리치몬드를 향해 진군하였다.

 

 

하지만 북군은 세븐파인 전투(페어 오크 역의 전투로도 불린다. Battle of Seven Pines / Battle of Fair Oak Station)이나 7일 전투(Seven Days Battles) 등의 전투에서 주변의 지형지물을 잘 알고 견고하게 쌓은 방어진에 막히고 말았다.

오히려 남부군들의 인명 사상률이 높았지만, 조지 맥컬랜은 매우 조심성이 많은 인물이었고, 남부 군 또한 여러 차례의 반격에 성공하면서 리치몬드로 향할 수 있는 결정적인 승리를 쟁취하지 못하고 있었다.

결국 전선이 고착화되고, 북 버지니아 전역으로 불리는 새로운 전선에서 새롭게 창설된 존 포프(John Pope)의 미국 연방군 소속 버지니아 군(Army of Virginia, 남군의 북버지니아군과 헷갈리지 말 것)을 지원하기 위해 조지 맥컬랜과 포토맥군은 버지니아에서 후퇴를 한다.  

 

 

북 버지니아 전역(Northern Virginia Campaign) 과 앤티텀 전투 (Battle of Antietam)

 

존 포프(John Pope)는 링컨과 친분이 있었던 장군으로 그는 새롭게 창설된 북군의 버지니아군(Army of Virginia)의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존 포프와 북군의 버지니아군은 북 버지니아 전역(Northern Virginia Campaign)전투에 주공으로서 참여를 한다.

북군의 버지니아군의 전략적인 임무는 워싱턴 D.C방어를 위한 1차 저지선의 역할을 수행하고, 버지니아 침공을 통해 버지니아 주의 여론에 압박을 넣고, 반도 전역에서 전투 중인 북군의 포토맥군이 리치몬드로 향할 수 있도록 남부군들의 전력을 분산시키는 것이었다.

 

존 포프

 

추후에는 북군의 포토맥군과 함께 전력을 합치고자 하였지만 로버트 E. L의 북버지니아군 (Army of Northern Virginia)인 놀라운 기동력을 보이며 2차 불런 전투(매너서스 전투로도 불린다. Second Battle of Bull Run(Also referred as the Battle of Manassas) The )와 같은 전투들을 통해 이들을 각개 격파하고 있었다.

존 포프가 이끌던 북군의 버지니아군은 결국 간신히 워싱턴 D.C를 방어할 수준으로 전력이 줄어들고, 북군의 포토맥군 또한 재정비를 할 필요성이 생겼다. 존 포프의 지휘 실패는 링컨과의 친분 덕분에 사령관직 해임 선에서 끝나고 북군의 버지니아군은 해산이 되었다.

 

 

로버트 E. 리는 1차 저지선을 하던 북군의 버지니아군이 해산되자 자신의 북버지니아 군을 이끌고 포토맥강을 건너 메릴랜드에 침공하여 반격을 시도한다. 

이는 로버트 E.리와 그의 북 버지니아군의 메릴랜드 전역(Maryland Campaign)으로 불린다. 로버트 E. 리는 볼티모어-오하이오 철도(B-O line(Baltimore-Ohio Railroad line))를 끊어서 워싱턴 D.C.로 향하는 보급품들을 차단하고, 미국 연방정부의 수도를 직접적으로 위협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아메리카 연합국은 경제적으로 매우 열악한 상태에 있어서 로버트 E.리와 그의 북 버지니아군이 공세에 나설 수 있도록 제대로 된 군화와 군수품을 지원할 수도 없는 상태였다.

로버트 E.리와 55.000명의 북 버지니아 군은 메릴랜드 전역 전투를 실시 한 단 열흘만에 탈영, 굶주림과 군수품 부족으로 인해 45,000 명으로 줄어 들었다.

 

 

로버트 E. 리의 북 버지니아군은 하퍼스 페리(Harpers Ferry)에서 제한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하지만 조지 맥컬랜과 포토맥군은 100,000명의 규모로 남부군들과 비교하여 수적 우위에 있었다.

이 시점에서 로버트 E. Lee의 북 버지니아군은 기동으로 인하여 병력이 흩어져 있었는데, 조지 맥컬랜은 이들을 각개 격파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사우스 마운틴 전투(Battle of South Mountain)과 같은 전투를 통해 로버트 E.리는 북 버지니아군을 집결할 수 있을 만큼의 여유가 생겼다.

 

 

집결한 로버트 E.리의 남군의 북 버지니아군과 조지 맥컬랜의 북군 포토맥군은 샤프스버그(Sharpsburg)과 가까운 앤티텀 계곡(Antietam Creek)에서 마주하게 된다.

앤티텀 전투 (The Battle of Antietam)는 미국 역사상 가장 피 튀기는 날이 되었다. 1962916일에 발발한 앤티텀 전투 하루 동안에만 23,000명의 미국인들이 사망하였다.

 

 

양측 모두 사상자 규모는 엇비슷하였으나, 2배가 넘는 규모의 군으로 남군을 격파하지 북군의 망신스런 패배로 앤티텀 전투는 평가되었다.

로버트 E.리는 더 이상 공세를 취할 수 없다고 판단을 하고, 포토맥 강을 건너 메릴랜드에서 후퇴하기로 결정을 내렸다.

조지 맥컬랜은 로버트 E. 리를 추격하는데 실패 하였고, 압도적인 병력 차이에도 앤티텀 전투에서 승리를 거두지 못한 맥컬랜에 실망하여 링컨은 그를 해임하고 앰브로스 번사이드(Ambrose Burnside)를 포토맥군의 사령관으로 새롭게 임명하였다.

 

 

노예 해방 선언 (Emancipation Proclamation) – 선언 95(Proclamation 95)

 

에이브러햄 링컨은 1862922일 노예 해방선언을 발의한다. 링컨의 원래 계획은 앤티텀에서 남군에게 승리를 한 이후 노예 해방선언을 선포하는 것이었지만, 이는 앤티텀 전투에서의 패배로 조금은 계획이 수정 되었다.

 

 

노예 해방선언(Emancipation Proclamation)186311일부터 유효 할 예정이었다. 링컨은 반란주에 속한 모든 노예들을 해방할 것이라고 선포를 하였다.

“That all persons held as un-free men within the rebellious states are and henceforward shall be free”

 

 

링컨의 노예 해방선언은 미국에서 분리된 10개의 주에만 해당되는 한계가 있기는 하였다.

(테네시는 미국 여방에서 탈퇴를 하였지만 일찍이 미국 연방군의 수중에 함락되어 노예 해방선언에서 제외되었다.)

하지만 링컨의 노예 해방 선언은 미국의 남북 전쟁이 단순히 미국 연방을 보전하기 위한 전쟁이 아닌 비 인간적인 노예제도를 해방하고 자유를 쟁취하기 위한 성전으로 규명하여 정치적 정당성을 확보한 중요한 사건이었다.

미국을 분단시켜서 미국의 힘을 분산시키고자 미국 남북 전쟁에 개입을 고심하던 대영제국과 프랑스 마저도 이 노예 해방선언으로 인해 개입할 명분이 사라져 버렸다.

 

반응형

8800b52358634bfc8dbb4197121c8b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