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Media/Movie

[해리포터 시리즈] – 해리포터와 불사조 기사단 요약 해석 파트 3 - 루나 러브굿, 이러쿵저러쿵지, 세스트랄, O.W.L 표준 마법사 시험

반응형

루나 러브굿 Luna Lovegood

루나 러브굿은 어머니 판도라 러브굿과 아버지 제노필리우스 러브굿 사이에서 태어난 외동딸이다.

제노필리우스 러브굿은 퀴블러 즉, 이러쿵저러쿵지의 편집장으로 일을 하였는데 이 이러쿵저러쿵지는 예사롭지 않은 이상하다는 표현이 맞는 잡지였다. 루나 러브굿은 해리포터 보다 1년 늦게 1992년 호그와트 마법학교에 입학하였다.

루나 러브굿은 9살이 되던 시절 자신의 어머니 판도라 러브굿을 마법 폭발 사고로 사망하는 것을 목격하였다. 이 충격적인 경험으로 인하여 죽음을 경험한 자들만 목격 가능한 세스트랄들을 루나 러브굿은 복 수 있었다.

 

 

루나 러브굿은 Loony라는 별명으로 불렸는데 이는 정신이 이상하다는 비웃음의 취지에서 지어진 별명이었다. 루나 러브귯은 레이번클로우 기숙사임에도 레이번클로 기숙사 안에서나 어디서나 좀 이상하고 많이 다르다는 이유로 친구가 많지 않았다.

지니 위즐리는 그리핀도르 기숙사 출신임에도 루나 러브굿과 편견 없이 친분을 쌓았다. 루나 러브굿은 해리포터와 죽음에 대한 고찰을 계기로 친해졌고, 그녀의 아버지가 편집장으로 있는 퀴블러, 이러쿵저러쿵지에 볼그모트의 귀환에 대한 인터뷰를 싣도록 도와준다.

 


돌로레스 엄브릿지는 이에 이러쿵저러쿵지도 교육 칙령으로 호그와트 마법학교 내에서의 구독을 금지시키지만 오히려 이로 인해 이러쿵저러쿵지가 널리 퍼지는 계기를 만든다.

루나 러브굿은 곧 덤블도어의 군대의 핵심 일원 중 한 명이 괴었으며, 영국 마법부의 미스터리 부서로 세스트랄을 타고 가는 일원들 중 한 명이었다.

 

 

퀴블러 이러쿵저러쿵지 The Quibbler

이러쿵저러쿵지는 마법 사회에서 매우 이상한 언론 매체로 취급되는 잡지였다. 이러쿵저러쿵지의 편집장은 루나 러브굿의 아버지 제노필리우스 러브굿으로 괴짜의 면모를 지녔다. 허마이오니는 예언자 일보의 황색 언론 기자 리타 스키터를 협박하여 해리포터와 볼드모트에 대한 인터뷰를 하여 이러쿵저러쿵지에 기고하도롤 하였다.

허마이오니는 리타 스키터가 아즈카반으로 직행할 정도로 중대한 죄인 애니마거스임을 숨긴 사실을 신고하겠다고 으름장을 놓아 이를 성사시켰다.

 

 

예언자 일보와 영국 마법부가 합작하여 볼드모트의 귀환을 거짓으로 치부하고, 덤블도어 교장과 해리포터에 대한 흑색 선전을 펼치고 있었기에 다소 괴상하고 많은 구독자들이 없는 이러쿵저러쿵지에 해리포터의 볼드모트의 귀환에 대한 인터뷰가 기고되었다.

이러쿵저러쿵지는 본래 괴상한 기사와 뜬금없는 음모론만 제시하는 이상한 언론으로 취급받았으나, 볼드모트의 귀환에 대한 해리 포터의 인터뷰 덕분에 영국 마법 사회에서 이러쿵저러쿵지는 주목받기 시작하였다.

 

 

이러쿵저러쿵지에 실린 해리포터의 인터뷰에는 리틀 행글턴 묘지에서 목격한 죽음을 먹는 자들의 이름부터 시작하여 볼드모트의 생김세 등 많은 정보들이 있어 독자들의 관심을 많이 받았다. 이러쿵저러쿵지는 주목을 많이 받기 시작하였으나, 여전히 괴상한 매체로 남았다.

 


 

세스트랄 죽음을 목도한 자들만 볼 수 있는 검은 날개 달린 말과 같은 마법 생물

세트트랄들은 파충류와 같은 얼굴을 가졌고, 박쥐와 같은 형태의 날개를 가진 검은 말 형태의 마법 생물이었다.

죽음을 직접 목격하고 경험한 마법사와 마녀들만 세스트랄들의 형태를 볼 수 있었고, 이러한 경험이 없는 자들에게 세스트랄들은 투명한 것처럼 보였다.

호그와트 마법학교의 움직이는 마차들도 사실은 스스로 움직이는 게 아니라 훈련된 세스트랄들이 끌던 마차였지만 단지 많은 어린 마법사와 마녀들은 죽음을 목격하고 경험한 적 없기에 세스트랄들이 안 보여 스스로 움직이는 마차들처럼 보인 것이다.

 

 

세스트랄들은 육식이며, 피 냄새에 민감하고 이끌렸기 때문에 생김새와 다른 특징들과 더불어 많은 마법사와 마녀들이 세스트랄들을 불길한 징조로 취급하였다.

해리 포터는 부모님이 돌아가셨지만 이들이 돌아 가시는 것을 직접 목격하고 체감을 하지 못한 이유로 호그와트 마법학교의 스스로 움직이는 마차처럼 보이게 만든 세스트랄들을 보지 못하였다.

하지만 세드릭 디고리의 죽음으로 인하여 죽음을 경험한 해리 포터는 이 시점부터 세스트랄들을 목격할 수 있었다. 루나 러브굿은 자신의 어머니의 죽음을 목격하였기에 세스트랄들을 진작에 볼 수 있었다.

 

 

세스트랄들은 뛰어난 방향감각과 예민한 감각이 있어 비록 마녀와 마법사들에게 위협적인 면모도 있었지만 훈련이 되면 마법사와 마녀들 사이에서 공존할 수 있었다. 호그와트 마법학교에 있던 세스트랄 무리들은 사람과 친하고 훈련이 되어서 어린 학생들에게 큰 위협이 되지 않았다.

영국 마법부에서 세스트랄 탑승을 공식 교통수단으로 승인하지 않았기에 세스트랄을 타고 다니는 행위는 사실 불법이었다. 하지만 덤블도어의 군대의 일원들은 해리포터와 함께 세스트랄들을 탑승하고 영국 마법부로 향하였다.

 

 

해리포터 영화 시리즈는 세스트랄들을 털이 없는 동물로 묘사하였는데, 세스트랄의 꼬리 털은 올리밴더가 쓰는 다른 마법 지팡이 코어들만큼 강력한 마법 지팡이 재료였다.

하지만 오직 죽음에 대한 경험이 있고 이와 능숙한 마법사와 마녀들만 세스트랄 꼬리 털로 만든 마법 지팡이를 능숙 하게 다룰 수 있었다. 영화에서 세스트랄이 털이 없는 것은 이러한 신비를 더하기 위함이다.

 

 

나글 - Nargle

루나 러브굿은 나글이라고 불리는 생물들이 자신의 목걸이, 신발과 다른 소지품들을 훔친다고 주장하였다. 하지만 해리포터 마법 세계관에서도 이 나글의 존재에 대해서 아는 사람은 루나 러브굿과 그녀의 아버지 제노필리우스 러브굿 밖에 없었다.

루나 러브굿은 크리스마스 장식으로 쓰이는 겨우 살이 나무에 특히나 나글들이 많이 산다고 주장하였는데, 상상 속의 해리포터 세계관에서도 나글은 존재하지 않지만 유독 루나 러브굿과 제노필리우스 러브굿만이 나글의 존재를 믿었다.

 

 

밈벌러스 밈블토니아 - 네빌 롱바텀의 선인장 같은 마법 식물

네빌 롱바텀이 들고 다니던 선인장 같은 마법 식물은 밈블러스 밈블토니아라고 불리는 마법 식물로 마법 세계에서 희귀한 식물이었다. 밈블러스 밈블토니아는 매우 지독한 냄새가 나는 악취수액을 뿜었는데, 이는 꽤나 희귀한 마법재료였다.

말그대로 밈벌러스 밈블토니아의 수액은 악취가 나서 악취수액이라고 불렸다. 밈블러스 밈블토니아는 마법 식물 그 자체도 희귀하였지만, 꽃을 피우는 것은 매우 이례적이어서 밈블러스 밈블토니아의 꽃은 더욱 희귀하였다.  

 

 

표준 마법사 시험 O.W.L – Ordinary Wizarding Level

표준 마법사 시험는 영어로 Ordinary Wizarding Level , 직역하면 보통 마사 등급 시험이었으며, 이의 약자 O.W.L은 부엉이를 뜻하는 OWL에 대한 말장난이 섞인 언어유희다. 표준 마법사 시험 즉 OWL 시험은 모든 호그와트 마법학교 5학년 학생들이 치러야 하는 시험이었다.

표준 마법사 시험 O.W.L의 성적은 영구적이었으며, test 각 학생들의 졸업 이후 직업 선택과 커리어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더욱 고학년으로 올라갈 때 이수할 수 있는 심화 과목들의 이수에도 영향을 미쳤다. , O.W.L 시험은 호그와트 마법학교의 일종의 수능과 같은 시험이라고도 할 수 있다. (N.E.W.T라고 더 어려운 시험도 존재한다).

 

 

영국 마법부의 마법시험 관리국 (The Wizarding Examinations Authority)에서 이 표준 마법사 시험을 주관하며, 이 표준 마법사시험에서는 호그와트 마법학교의 모든 과목들에 대해서 치러졌다.

O.W.L 시험 결과에 따라서 호그와트 마법학교 학생들은 고학년이 되었을 때 심화 과정인 N.E.W.T 과목들을 이수해도 되는지 판가름하였다.

N.E.W.TNastily Exhausting Wizarding Test라는 영어의 약자로, 엄청나게 지독하게 어려운 마법시험이라는 뜻이며, 이 약자 NEWT는 도롱뇽을 뜻하는 영어로 만든 언어유희이다.

 

 

O.W.L 시험을 이수하면 또 다른 혜택이 주어지는데, 이 시험을 완료/이수 한 시점 부터는 호그와트 마법학교에서 퇴학을 당해도 지팡이를 뺏기거나 소지를 금지 당하지 않았다.

O.W.L 시험을 치렀다는 사실만으로도 표준/일반 수준의 마법을 구사할 수 있다고 인정을 받는 것이다. 해그리드는 O.W.L 시험을 안 치르고 퇴학당하여서 마법 지팡이 소지를 금지 당하였다.

 

 

O.W.L 시험을 치를 때 네빌 롱바텀이 가지고 있던 리멤브럴과 같은 마법 물체들은 소지 금지 당하며, O.W.L 시험문제가 적힌 시험지에는 엄청나게 많은 부정행위 방지 마법들이 걸려 있었다. O.W.L 시험이든 N.E.W.T 시험이든 부정행위를 저지르는 것은 불가능이었다.

표준 마법사 시험 과목에는 마법 주문, 마법 물약, 천체학, 마법 동물 돌보기, 어둠의 마법 방어술, 점성술, 고대 룬, 마법 식물학, 변환술, 마법의 역사 그리고 산술학이 있었다.

 

 

O.W.L 시험은 필기 시험과 실기 시험으로 나뉘었고, 필기 시험에서는 객관식 문제부터 주관식 문제 등이 있었으며, 에세이 제출문항이 있기도 하였다.

실기 분야에서는 특정 마법 주문들을 구사하거나 주어진 과제를 해결 해야 했다. 표준 마법시험은 합격그리고 불합격의 두가지로 나뉘는데 총 6등급의 성적이 주어졌다.

 

 

O.W.L 표준 마법사 시험의 가장 높은 등급은 ‘O’ , Outstanding으로 매우 우수함, 빼어남을 뜻한다. 그 다음 등급은 ‘E’ Exceeds Expectations , ‘기대이상’ ‘기대를 뛰어넘음이었으며, 그 다음으로 높은 등급은 ‘A’ Acceptable, 받아 들일만함으로 여기까지는 통과등급을 받는 점수였다.

N.E.W.T 수준의 과목을 이수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E’ 즉 기대 이상의 성적을 받아야 했다. ‘불합격수준의 표준 마법사 시험점수는 ‘P’ Poor, 뒤떨어짐, ‘D’ Dreadful , 끔찍함이었으며, 최악의 점수 등급은 ‘T’ Troll , 트롤 이라는 의미였다. 

 

 

반응형

8800b52358634bfc8dbb4197121c8b50